3. 퇴직금/퇴직금

퇴직금이 뭔가요? 기본 개념부터 수령 기준까지 완전 정리

4060지식노트 2025. 6. 8. 12:39

퇴직금이 뭔가요? 기본 개념부터 수령 기준까지 완전 정리

퇴직금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동안 회사에서 일한 후 퇴사할 때 지급받는 일종의 ‘노동 보상금’입니다.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로, 직장생활에서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 요건, 계산 방식, 수령 절차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퇴직금의 법적 정의와 필요성

퇴직금은 근로자의 노후 생활 안정 및 실직 시의 생계 보전을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대한민국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2조에 따라, 계속 근로한 기간이 1년 이상이고, 평균 주 15시간 이상 근무했다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지급 요건 상세 정리

  • 근속기간: 1년 이상 연속 근로
  • 근로시간: 주 평균 15시간 이상 (4주 평균)
  • 단시간 근로자: 주 14시간 근무 시 퇴직금 제외 대상
  • 계약직, 일용직도 요건만 충족하면 가능

3. 퇴직금 계산 방식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평균임금은 퇴직일 이전 3개월간 지급된 임금을 총 일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수당, 상여금, 연장근로수당 등이 포함됩니다.

4. 실제 계산 예시

사례: 월 300만원을 받고, 3년 5개월 근무한 정규직 근로자 A씨

  • 3개월 총 급여: 9,000,000원
  • 평균임금: 9,000,000 / 90 = 100,000원
  • 근속연수: 3년
  • 퇴직금 = 100,000 × 30 × 3 = 9,000,000원

5. 중간정산 가능한가요?

원칙적으로 퇴직금은 퇴사 시 일시 지급됩니다. 그러나 다음의 경우에 한해 중간정산이 허용됩니다:

  • 주택 구입
  • 전세금/보증금 마련
  • 본인 or 가족의 질병 치료
  • 500만원 이상의 교육비 필요 등

6. 수령 방식 & 시기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 지급이 원칙이며, 지연될 경우 지연 이자(연 20%)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퇴직소득세 공제 후 실수령액이 입금됩니다.

7. 퇴직소득세 계산법

퇴직금 수령액이 클수록 퇴직소득세도 증가합니다. 일정 금액까지는 비과세되며, 근속기간과 퇴직 사유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장기 근속일수록 절세 효과가 큽니다.

내부 참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