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40대후반 은퇴설계연구소

퇴직금 계산 사례 – 근속연수 & 평균임금에 따른 퇴직금 계산법 본문

3. 퇴직금/퇴직금 계산 실전 사례

퇴직금 계산 사례 – 근속연수 & 평균임금에 따른 퇴직금 계산법

4060지식노트 2025. 6. 4. 22:29

[인포그래픽 요약 텍스트] 퇴직금 계산 실전 사례 – 직장인의 상황별 퇴직금 시뮬레이션 5선 ALT: 직장인 퇴직금 계산 실전 사례를 기반으로 근속연수와 평균임금별 시뮬레이션 결과를 요약한 인포그래픽


퇴직금은 오랜 직장 생활의 결실이자, 퇴직 이후의 생계를 위한 중요한 재원이 됩니다. 하지만 많은 직장인들이 실제 퇴직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명확하게 알지 못한 채 퇴직을 맞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사례를 통해 퇴직금 계산 방법을 상세히 알아보고, 다양한 상황에서의 퇴직금 시뮬레이션을 제공하여 독자 여러분이 직접 자신의 상황에 맞게 이해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퇴직금 계산의 기본 공식

퇴직금은 다음 공식을 기반으로 계산됩니다: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x 30일 x (근속연수)

여기서 1일 평균임금은 퇴직 직전 3개월간의 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연차수당, 상여금 등도 포함됩니다.


평균임금 계산법과 유의사항

1일 평균임금은 퇴직 전 3개월간 받은 총 임금을 해당 기간의 총 일수(暦日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여기에는 기본급뿐 아니라 정기상여금, 수당(식대, 교통비, 직책수당 등)도 포함됩니다.

예시:

  • 퇴직 전 3개월 총 급여: 1,200만원
  • 해당 기간 총 일수: 92일
  • 1일 평균임금: 약 130,435원

➡️ 이 금액이 퇴직금 계산에 사용되는 '일급'입니다.

근속연수 판단 기준

근속연수는 입사일로부터 퇴사일까지의 총 기간을 기준으로 하며, 소수점 이하도 반영됩니다. 예를 들어 4년 6개월 근속한 경우, 근속연수는 4.5년으로 계산됩니다.

단, 1년 미만 근속자에겐 퇴직금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주 15시간 미만 단시간 근로자 예외 있음).


실전 시뮬레이션 ① – 대기업 직장인 (근속 10년, 평균임금 200,000원)

퇴직금 = 200,000원 x 30일 x 10년 = 60,000,000원

실전 시뮬레이션 ② – 중소기업 직장인 (근속 5.5년, 평균임금 150,000원)

퇴직금 = 150,000원 x 30일 x 5.5년 = 24,750,000원

실전 시뮬레이션 ③ – 계약직 근로자 (근속 2년, 평균임금 110,000원)

퇴직금 = 110,000원 x 30일 x 2년 = 6,600,000원

실전 시뮬레이션 ④ – 고연봉 전문직 (근속 3년, 평균임금 400,000원)

퇴직금 = 400,000원 x 30일 x 3년 = 36,000,000원

실전 시뮬레이션 ⑤ – 저연봉 단시간 근로자 (근속 4년, 평균임금 80,000원)

퇴직금 = 80,000원 x 30일 x 4년 = 9,600,000원

실제 계산 시 주의할 점

  • 퇴직 전 임금 누락 여부 확인
  • 상여금이 연 2회 이상 지급되는 경우 '정기성' 포함 여부 판단 필요
  • 연차 수당 포함 여부 명확히 확인
  • 3개월 급여 내 휴직이나 무급 기간이 있는 경우 일수에서 제외

퇴직금 세금 공제 구조

퇴직소득세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계산됩니다:

  1. 퇴직소득공제 (근속연수별 차등 적용)
  2. 과세표준 구간별 누진세율 적용
  3. 1년 초과분에 대해 5년 평균과세 적용

➡️ 고연봉자일수록 퇴직금이 클수록 세금도 커지므로 퇴직금 수령 시기 분산 전략이 중요합니다.


절세 전략 3가지

  1. IRP로 퇴직금 이체
    • 퇴직소득세 이연 가능
    • 인출 시 분리과세 적용 (3.3~5.5%)
  2. 퇴직 연도 조절
    • 연말 퇴사 → 퇴직소득과 근로소득이 합쳐져 누진세 심화
    • 연초 퇴사 시 세부담 감소
  3. 분할 수령
    • IRP 활용 시 연금 방식으로 인출 가능
    • 장기 수령 시 소득세 부담 최소화

마무리

퇴직금은 단순한 숫자가 아닌, 은퇴 이후 삶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자산입니다. 지금 자신의 근속연수와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퇴직금을 시뮬레이션해보세요. 그리고 퇴직 시점과 수령 방식까지 전략적으로 접근해야만 퇴직 후 재정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퇴직소득세를 줄이기 위한 실제 IRP 활용 전략을 상세히 다루겠습니다.

 

👉 퇴직소득세를 줄이는 방법은 IRP 절세 전략 글에서 함께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