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40대후반 은퇴설계연구소

퇴직금 계산 실전 사례 – 직장인의 상황별 퇴직금 시뮬레이션 5선 본문

3. 퇴직금/퇴직금 계산 실전 사례

퇴직금 계산 실전 사례 – 직장인의 상황별 퇴직금 시뮬레이션 5선

4060지식노트 2025. 6. 4. 22:47

[인포그래픽 요약 텍스트] 퇴직금 계산 실전 사례 – 직장인의 상황별 퇴직금 시뮬레이션 5선 ALT: 정규직, 비정규직, 장기근속자, 중도퇴사자 등의 퇴직금 계산 방식과 실전 사례를 시각화한 인포그래픽


퇴직금은 ‘인생 2막’을 준비하는 가장 현실적인 재원이자, 가장 많이 오해되는 제도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법적 기준에 따른 퇴직금 계산 방식을 기본으로, 다양한 직장인 상황별로 시뮬레이션한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퇴직금을 어떻게 예측하고 준비할 수 있는지 안내합니다.

1. 퇴직금 기본 계산 공식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평균임금 계산법

  • 퇴직 직전 3개월간 총급여 ÷ 총 일수
  • 기본급 외에도 상여금, 수당 포함 (정기성 여부 판단 중요)

근속연수 계산 기준

  • 입사일 ~ 퇴사일 기준
  • 1년 미만도 비례 계산 (예: 6개월 근무 → 0.5년)

2. 실전 사례별 퇴직금 시뮬레이션

사례 ① 정규직 장기근속자 – 15년 근무, 평균임금 120,000원

  • 퇴직금 = 120,000 × 30 × 15 = 54,000,000원
  • 퇴직연금 가입 시 IRP 이전 가능 → 퇴직소득세 절감 효과

사례 ② 2년차 대기업 직원 – 평균임금 180,000원

  • 퇴직금 = 180,000 × 30 × 2 = 10,800,000원
  • 중도 퇴사지만 퇴직금 전액 지급 대상
  • 세전 기준, 세후 수령액 약 10,000,000원 내외

사례 ③ 계약직 1년 근무자 – 평균임금 100,000원

  • 퇴직금 = 100,000 × 30 × 1 = 3,000,000원
  • 계약 만료 시 자동 지급 대상
  • 주 15시간 미만 근무자는 제외 대상이므로 주의

사례 ④ 육아휴직 포함 여성 근로자 – 근속 5년, 휴직기간 포함

  • 평균임금: 150,000원, 실제 근무 4년
  • 퇴직금 = 150,000 × 30 × 5 = 22,500,000원
  • 육아휴직도 ‘근속연수’에는 포함되나, 평균임금 산정에는 제외

사례 ⑤ 퇴직연금 수령자 – DC형, 월 500,000원 납입, 10년 근속

  • 회사 부담금 포함 월 1,000,000원, 연 2% 수익률 가정
  • 적립금 총액 약 130,000,000원, 퇴직 시 IRP로 이전
  • 연금 수령 시 소득세 감면 혜택 적용 가능

3. IRP(개인형퇴직연금)로 이전하기

  • 퇴직금 수령 후 IRP 계좌로 이전 시 퇴직소득세 이연
  •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 시 3.3~5.5% 저율 분리과세
  • 중도인출 시 소득세 부과 (단, 무주택자 전세보증금 등 일부 예외 인정)

IRP 이전 절차 요약

  1. 퇴직금 수령 시점에 회사에서 원천징수 예정세액 확인
  2. 금융기관 IRP 계좌 개설
  3. 회사에 ‘이체 신청서’ 제출 → 직접 입금 처리됨
  4. IRP 운용 상품(예금/펀드 등) 선택

 

👉 퇴직금 수령 시 세금을 줄이는 전략은 IRP 절세 활용법 글에서 확인해보세요.


4. 퇴직소득세 계산 예시

총 수령액퇴직소득공제과세표준세율예상 세금실수령액

30,000,000원 약 14,000,000원 16,000,000 6% 약 960,000원 약 29,040,000원

※ IRP로 이전 시 세금은 당장 부과되지 않고 이연됨


5. 자주 묻는 질문 (FAQ)

Q. 퇴직금 지급 기한은 언제까지인가요?
→ 퇴사일로부터 14일 이내 지급이 원칙입니다. 지연 시 지연이자 청구 가능

Q. 퇴직금 계산에 포함되는 수당은?
→ 정기적,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수당은 포함되며, 연월차·성과급 등 일시금은 제외될 수 있음

Q. 중간정산 가능한가요?
→ 원칙적 불가. 다만 무주택자의 전세자금, 6개월 이상 요양 등 일부 사유 시 가능


6. 마무리 – 퇴직금은 '미래 준비금'입니다

퇴직금은 단순한 퇴사 후 보상이 아니라,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재정적 기초입니다. 미리 자신의 근속연수, 평균임금, IRP 활용 여부 등을 계산해 본다면, 보다 정확한 은퇴 설계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IRP로 이전하고 연금으로 수령하는 전략은 중장년층에게 절세와 노후 소득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연금 수령과 세액공제 전략을 연계한 IRP vs 연금저축 실전 운용 사례를 다룰 예정입니다.